Frontend/Web

[그림으로 배우는 웹구조] chapter 2. 웹의 독자적인 구조

ej503 2023. 2. 19. 11:34

2-1. 웹 기술의 변화

1) 넓어지는 이용 영역

- 이전 정보 시스템은 SoR (System of Record: 기록 시스템)이라 불렸고 이용하는 조직에서 관리를 중심으로 했다. 현재는 SoE (System of Engagement: 연결되는 시스템)와 같이 다양한 조직이나 개인의 연계도 고려한 시스템을 목표로 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2-6 웹사이트의 안쪽) HTTP 요청

1) HTTP 프로토콜의 개요

- 전화와 비교해서 생각해 보면, 전화에 의한 통신에서는 전화번호를 지정하지만 HTTP 에서는 유일한 URL을 상대로 지정해서 통신을 한다.

- 전화에서는 한번 상대에게 접속했으면 끊을 때까지 데이터를 주고받지만, HTTP에서는 1회마다 상대와의 주고받기를 완결시키는 스테이트리스(Stateless)라는 특징이 있다.

- HTTP 메서드 예시: PUT) 파일을 송신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2-7 웹사이트의 안쪽) HTTP 응답

1) 요청에 대한 응답

- 응답 행에는 요청을 보낸 상대측의 웹 서버의 정보 및 요청이 어떻게 처리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스테이터스 코드가 포함된다.

- HTTP 메시지: 응답 행 + 메시지 헤더 + 바디

 

2-9. 프로그램의 실행

1) 동적 페이지의 트리거

- 동적 페이지에서는 데이터의 입력 - > 처리의 실행 - > 결과의 출력, 표시 한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CGI(Common Gate Interface) 라 한다.

 

2-14 일련의 처리 시작부터 종료까지의 관리

1) 서버 측에서 접속 흐름을 관리하는 구조

- Cookie가 있어 스테이트리스로 끊어져 버리는 HTTP의 재접속을 지원하는데, 서버나 웹 앱 측에서는 Session (세션) 으로 관리한다.

- 실제 쿠키 안에 일련의 처리를 나타내는 유일한 세션 ID를 포함하는 형태로 브라우저와 서버의 통신이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