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자바스크립트의 기본 개념과 동작 원리를 읽고 정리한 내용입니다.
13.1 스코프란?
- 모든 식별자(변수이름, 함수이름, 클래스이름 등)는 자신이 선언된 위치에 의해 다른 코드가 식별자 자신을 참조할 수 있는 유효범위가 결정된다. 이를 스코프라 한다. 즉, 스코프는 식별자가 유효한 범위를 말한다.
- 식별자 결정: 어떤 변수를 참조해야 할 것인지 결정하는 것이다. 식별자를 검색할 때 사용하는 규칙이다.
13.2 스코프의 종류
- 전역변수는 함수 내부에서도 참조할 수 있다.
- 지역변수는 자신의 지역 스코프와 하위 지역스코프에서 유효하다.
13.3 스코프 체인
- 스코프 체인은 스코프가 계층적으로 연결된 것이다.
- 스코프 체인을 통해 변수를 참조하는 코드의 스코프에서 시작하여 상위 스코프로 이동하며 선언된 변수를 검색한다.
13.4 함수 레벨 스코프
- 함수 레벨 스코프는 코드 블록이 아닌 함수에 의해서만 지역 스코프가 생성된다.
- var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는 오로지 함수의 코드 블록만을 지역 스코프로 인정한다.
- 자바스크립트는 렉시컬 스코프를 따르므로 함수를 어디서 호출했는지가 아니라 함수를 어디서 정의했는지에 따라 상위 스코프를 결정한다.
14.1 변수의 생명 주기
- 지역변수는 함수의 생명 주기와 일치한다. 함수가 호출되면 생성되고 함수가 종료되면 소멸한다.
- 지역변수는 자신의 지역 스코프와 하위 지역스코프에서 유효하다.
- var 키워드로 선언한 생명 주기는 전역 객체의 생명주기와 일치한다.
15.2 let 키워드
- let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는 블록 레벨 스코프를 따른다. 선언단계와 초기화단계가 분리되어 진행된다.
- 스코프 체인을 통해 변수를 참조하는 코드의 스코프에서 시작하여 상위 스코프로 이동하며 선언된 변수를 검색한다.
- let 은 재할당이 필요한 경우에 한정적으로 사용한다.
15.3 const 키워드
-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반드시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해야 한다.
- const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에 객체를 할당한 경우 값을 변경할 수 없다.
'Language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08. 생성자 함수에 의한 객체 생성 (0) | 2022.09.13 |
---|---|
JavaScript 07. 프로퍼티 어트리뷰트 (0) | 2022.09.12 |
JavaScript 05. 함수 (0) | 2022.08.28 |
JavaScript 04. 객체 리터럴 (0) | 2022.08.27 |
JavaScript 03. 연산자 (0) | 2022.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