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abla/Random writing 2

주절주절 :: 알고리즘과 발표

# 알고리즘 나는 알고리즘 문제가 좋았다. 본격적으로 시험을 보거나 공부를 한 것은 아니지만, 보이는 문제들은 자주 풀었다. 나름대론 코드에 대한 태도가 진지했던 것 같다. 코드를 쓰고, 고치고, 생각하고, 다시 고치고, 노트북을 가지고 다니며 쉬는 시간이든 집에서든 고민했던 그 열정은, '아 나는 코드로 먹고 사는 사람이 되어야 겠다'라는 무시무시한 생각을 낳기에 이르렀다! 겨울방학부터 동기들과 알고리즘 스터디를 하고 있다. 알고리즘은 바로 구글의 잡 인터뷰 문제들이다. 난이도가 어려운 문제가 있음을 알면서도 코딩은 여전히 어렵고 내 실력은 영원히 만족스러워지지 않을 것 같음. 어느 글에서 한 통계학자가 매일 아침 R문제를 푼다고 하던데 좀 더 자신있게 정면돌파하는 것도 방법일 것 같음. 안 그러면 내..

[People] 세계적인 심리학자들의 아침 습관

www.youtube.com/watch?v=6Bxp-x3OI5w 「지난 24시간 동안 가장 즐겁고 좋았던 것 세 가지를 떠올려 보는 거에요.우리 삶에 감사할 게 많다는 사실을 상기시키기 위해서 감사하는 루틴을 갖는 건 중요하죠」 덧붙여.실험에서 비교한 바에 따르면, 감사 일기를 매주 기록한 사람은 본인들의 삶 전반에 대해 긍정적으로 느끼고, 다가오는 한 주에 대해 좀 더 낙관적으로 느끼는 경향이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감사하는 행동은 개인적인 목표 성취에도 도움을 주는 것으로 드러났다. For my personal experience, writing or speaking thankful things in the morning is powerful to live a day.Of course, a few y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