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체지향프로그래밍이란?
객체지향프로그래밍은 프로그래밍에서 필요한 데이터를 추상화 시켜 상태와 행위를 가진 객체로 만들고, 객체들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로직을 구성하는 프로그래밍 방법이다.
객체지향프로그래밍의 특징
객체지향프로그래밍은 크게 추상화 , 캡슐화 , 상속 , 다형성 의 네가지 특징을 가진다.
1. 추상화
- 객체에서 공통된 속성과 행위를 추출 하는 것
- 공통의 속성과 행위를 찾아서 타입을 정의하는 과정
- 추상화는 불필요한 정보는 숨기고 중요한 정보만을 표현함으로써 프로그램을 간단하게 만드는 것
추상화가 왜 필요할까?
- 다른 곳의 코드를 수정할 필요 없이 추가로 만들 부분만 새로 생성해주면 된다.
2. 캡슐화
- 변수와 함수를 하나로 묶는 것
- 낮은 결합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
속성과 기능을 정의하는 변수와 메소드를 클래스라는 캡슐에 넣어서 분류하는 것으로 정보은닉을 활용 할 수도 있다.
3. 상속
- 하위 클래스가 상위 클래스의 속성과 행위를 물려받는 것을 말한다
- 새로운 클래스가 기존의 클래스의 데이터와 연산을 이용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이다
4. 다형성
- 하나의 변수명, 함수명이 상황에 따라 다른 의미로 해석 될 수 있는 것
- 어떠한 요소에 여러 개념을 넣어 놓는 것
오버라이딩
- 상위 클래스가 가지고 있는 메소드를 하위 클래스가 재정의해서 사용하는 것
오버로딩
- 같은 이름의 메소드가 인자의 개수나 자료형에 따라 다른 기능을 하는 것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과 절차 지향 프로그래밍은 반대이다?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절차 지향 프로그래밍과 다르다고 생각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절차지향은 순차적으로 실행에 초점이 되어있고 객체지향은 관계/조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초점의 차이일 뿐이다.
참고한 사이트
'Langu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본 정렬 알고리즘 - 버블 정렬, 선택 정렬, 삽입 정렬 (0) | 2023.01.07 |
---|